2017년 연봉 실수령액 확인하기 

2018년부터 최저임금 7,530원으로 16.4% 인상되자, 최저 임금 인상으로 인해 일자리 감소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가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최저임금 인상은 역대 최대 상승률로 보여지는데, 노동계에서는 1만원이 되지 않은 것에 대해 강한 불만을 토로했으나, 애초에 단 한번에 1만원 인상은 무리라고 보여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또한 각 지역마다 물가도 틀릴 것이고, 중소기업이든 자영업자든 매출 역시 다를텐데, 동일한 시급을 정하는 것 역시 개인적으로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강남 편의점과 지방 시골의 편의점 매출이 다를테고,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해 소비하는 체감 물가 역시 다를텐데 모두 동일하게 적용한다는 것 역시 이번 최저임금 상승에 대한 반발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처럼 점주와 알바생의 임금에 대한 생각차이가 있듯, 직장인들 역시 재직중인 회사의 대표와 임금에 대한 차이가 존재할텐데요. 직장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게 무엇인지 물어본다면 당연히 연봉일 것입니다. 물론 본인이 하고자 하는 일을 하고, 성취감을 느끼는 것도 중요하지만, 평범한 직장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급여가 아닐까요?

특히 이번에 처음 직장을 다니게 된 사회초년생들에게 연봉, 월급 등은 생소함 그 자체 일것입니다. 분명 연봉협상은 했는데 총 금액에서 12개월을 나눠도 내가 받는 급여와 차이가 나는 것을 의아해 하는 분들도 많으실겁니다. 이 부분은 본인의 급여에서 일정 부분 공제를 한 뒤 지급이 되는 부분이어서 실제 생각한 급여와, 실 수령액이 달라질 수 밖에 없는 것이죠.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 고용보험 등의 4대 보험 외에도 소득세, 지방소득세 등 사회초년생은 잘 알지 못하는 부분에서 세금으로 원천징수 당하니 모를 수 밖에요. 오늘은 어차피 징수 당하는 세금, 본인의 연봉에 따라 징수당하는 세금이 얼마인지 연봉 금액 대비 실 수령앤은 얼마가 되는지 잘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1,000만원 ~ 2,900만원

사회초년생 대부분이 이 금액에서 시작하겠죠?

가장 낮은 연봉 1,000만원부터 2,900만원에서 받을 수 있는 연봉에 대한 실수령액 표입니다. 물론 1,000만원 연봉으로 시작하시는 분들은 없겠지만, 간혹 시간제 근무나 재택 근무 등 제한된 근무를 하시는 분들은 더러 작은 연봉을 받고 일을 하고 있어, 참고하시라고 올려 봅니다.

다행히 연봉 1,000만원~1,300만원에서는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는 전혀 징수 당하지 않습니다. 당연하지만 4대 보험은 어쩔 수 없이 납부를 해야합니다. 1,000만원의 경우 월급여액은 771,883원, 1,300만원은 1,000,913원으로 대부분 직장인 보다는 아르바이트 급여로 받을 수 있는 금액입니다.


 

회사마다 연봉 책정에 대한 차이는 있지만, 중소기업 초대졸 신입사원 기준으로 연봉은 대략 1,800만원에서 2,400만원 정도로 받습니다. 

- 1,800만원 실수령액 = 1,375,210원, 2,400만원 실수령액 = 1,821,940원

1,800만원을 단순히 연봉을 나누어 계산해보면 월 1,500,000원이지만, 여기서 4대보험 및 소득세, 지방소득세 등 공제액을 제하면 137만원 정도 지급 받게 됩니다. 2,400만원 연봉 역시 2,000,000원이지만 공제액을 빼면 182만원 정도 지급 받게 되는 것이죠.


3,000만원 ~ 4,900만원

많은 중소기업의 대리, 과장 직급이 받는 연봉이 바로 3,000만원에서 4,900만원 정도가 아닐까 추측해 봅니다. 당연히 정확한 통계를 바탕으로 작성한 것도 아니고 혼자 추측해본 결과이므로 참고만 해주세요. ㅠㅠ

연봉 3,000만원의 경우 월급여는 2,262,310원, 4,000만원은 2,943,043원입니다.



5,000만원 ~ 6,900만원

아마도 중소기업에서 왠만한 차장, 부장 이상 직급 연봉이 이정도이지 않을까 조심스레 추측해봅니다.

앞서 살펴본 연봉 금액대에 비해 확연히 공제액이 늘어났습니다. 월급여 대비 공제액 비율이 많이 늘어났기 때문인데요. 많이 벌면 그만큼 많이 내는 것이 세금인 것은 당연하지만, 정부는 유리지갑인 직장인들만 탈탈 털어가는 것이 참 속상합니다. 세금을 성실히 납부하는 자영업자들도 많지만 많은 분들이 소득을 숨기고 신고하는 것을 보면 속상할 뿐이죠.


※ 회사 내규에 따라 상여금이 연봉에 포함 or 미포함 되는 등 위 내용과 상이할 수 있으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7,000만원 ~ 8,900만원

연봉 7,000만원 실수령은 앞서 살펴본 6,000만원 연봉과 비교해보면 생각보다 그리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월급여는 대략 60만원 정도 더 받게 되는 것인데, 1,000만원이나 더 받게 되었지만, 이와 비례해서 월공제액 역시 매월 21만원이나 늘었기 때문이죠.



9,000만원 ~ 9,900만원

아마 저처럼 평범한 직장인이라면 한번씩 꿈꾸는 연봉이겠죠? 그런데 생각보다 월 실수령액이 크지 않습니다. 1억원에 가까운 연봉을 받지만 월급여는 640만원 정도 받게 되는데 이는 공제되는 비율이 20% 가량 되기 때문입니다.



1억원 ~ 1억 2,900만원

1억원이 넘는 연봉이라도 공제액 비율이 20%~23%에 달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많이 벌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저 같은 소시민이 보기엔 과분한 금액이겠지만..



1억 3,000만원 ~ 1억 4,900만원

이번 실수령액을 살펴 보면 놀라웠던 것이, 무려 1억 4천 9백만원의 연봉을 받으면서도 월급여가 1,000만원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 큰 충격이었습니다. 회당 1,000만원을 받는 연예인을 직장인으로 비유하면 연봉이 얼마인지 궁금해집니다. 



1억이 넘는 연봉을 받아도 월 1,000만원의 급여도 받지 못한다니, 단순히 임대료만 몇 천만원을 벌어들이는 임대업자들이 정말 대단하다는 것을 피부로 느끼게 됩니다. 이래서 대한민국 국민들 태반이 임대업자가 꿈이라고 하나 봅니다.


오늘은 2017년 연봉 금액 별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살펴보았습니다. 사회초년생들뿐만 아니라 매년 연봉협상을 진행하실 직장인이라면 실제 매월 받게 되는 급여(실수령액)가 얼마인지 정확히 파악하고 연봉 협상에 돌입하시길 바랍니다. 단순히 대략적인 연봉 금액만 이야기 하고선, 실제 받는 월급여가 생각보다 작아 실망하는 일이 없도록 말이죠. ^^

+ Recent posts